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공간환경디자인의 이해와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이상민 부연구위원 고은정 임유경
  • AURI-정책-2008-1
  • 2008.12.31
  • 136페이지
  • 조회수 6970
요약 이 연구는 품격있고 지속가능한 건축·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공간환경디자인의 개념과 범위를 설정하고, 관련 전문가와 공무원에게 공간환경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출발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공간환경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을 검토하고, 국내외 관련 사례 분석을 통해 공간환경디자인을 실천하기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중앙정부나 지자체 공무원이 정책을 수립하거나 공간환경 관련 사업을 추진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공간환경’과 ‘디자인’이란 단어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공간환경디자인은 곧 ‘좋은 공간환경 만들기’를 뜻하며, 여기서 좋은 공간환경이란 ‘열린 접근과 자연스러운 연계(access & linkage)’, ‘안전성과 편안함(safe & comfort)’, ‘정체성있는 이미지(identity & image)’, ‘다양한 이용과 유연한 프로그램(use & program)’, ‘지속적인 관리와 운영(ownership & management)’이라는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총체적인 장소를 의미한다.
공간환경디자인의 적용대상은 건축물이 이루는 공간구조, 공공공간, 경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간구조는 대지와 건축물이 만들어 내는 관계로, 공간환경디자인은 공간구조를 새로 구축하는 일 뿐 아니라 이를 보존하고 활용하는 일체의 행위를 비롯하여 공간구조를 이루는 개별 요소들의 사이 공간까지 모두 포함한다. 건축기본법에서 ‘가로·공원·광장 등의 공간과 그 안에 부속되어 공중이 이용하는 시설물’이라 정의되고 있는 공공공간 또한 공간환경디자인의 대상이 된다. 이 연구는 도시의 주요한 공공공간으로서 가로·공원·광장 외에 도시 경관을 형성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 도시하부구조물(Infrastructure)과 공간환경의 질을 가늠하는 중요한 잣대인 디테일과 재료라는 측면을 포함하여 공간환경디자인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경관은 앞서 언급한 여러 요소들의 총합으로서 공간구조, 공공공간 등이 만들어내는 총체적 환경이다. 도시경관은 그 대상의 범위에 따라 크게 시가지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기본적인 경관과 역사·문화적 가치가 있는 지역, 도시개발사업 대상지 등 특정한 지역의 경관으로 나눌 수 있다.
공간환경디자인은 이러한 적용대상에 대한 디자인 행위보다는 좋은 공간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접근방식과 그 가치에 더 중점을 둔다. 결국 공간환경디자인이란 건축물, 가로, 공원, 시설물 등 개별 대상물의 질적 향상이 아니라 이러한 대상물들이 어우러진 총체적인 장소를 좋은 공간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해 도시를 만드는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여러 분야의 전문가와 다양한 주체의 유기적인 관계형성이 가능한 협력적 디자인(Collaborative Design), 건축물이 이루는 공간, 공공공간, 공공시설물 등을 총체적으로 인식하여 장소를 만들기 위한 통합적 디자인(Holistic Design), 삶의 토대로서 생활공간을 만드는 프로세스 디자인(Process Design)이 공간환경디자인의 필수적인 전제조건이자 중요한 특성이 된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1) 선행연구 현황
  2) 주요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II. 공간환경디자인에 대한 이해
1. 공간환경의 개념과 조건
  1) 공간환경의 개념
  2) 좋은 공간환경의 조건
2. 공간환경디자인이란 무엇인가?
  1) 공간환경디자인의 개념
  2) 공간환경디자인의 가치
3. 공간환경디자인의 적용대상
  1) 공간구조
  2) 공공공간
  3) 경관

 

III. 공간환경디자인의 실천방향과 사례
1. 우리나라 공간환경디자인의 현실과 원인
  1) 우리나라 공간환경디자인의 현실
  2) 열악한 공간환경디자인의 원인
2. 공간환경디자인의 9가지 실천방향과 사례
  1) 장소의 가치 향상
  2) 부분보다 전체
  3) 발상의 전환
  4) 통합적·총체적 접근
  5) 적절한 전문가 활용
  6) 적극적 주민참여
  7) 다양한 주체의 협력
  8) 점진적 사업 추진
  9) 지속적 관심

 

Ⅳ. 결론 및 향후 과제

 

· 참고문헌
· Summary
· 부록. 영주시 공간환경디자인 관련 공무원 의견 조사

이상민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