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 일반연구보고서 2020-9
- 2020.12.31
- 211페이지
- 조회수 450
국민 생활수준 향상과 건축물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건축법령도 꾸준히 개정되고 있으며, 더불어 건축기준 관련 민원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 중 ‘면적ㆍ높이 산정 기준’ 민원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본 기준이 건축물 규모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외부조건에 따라 관계자의 자의적 해석을 유발하는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기준에 대해 설계자, 중앙 및 지방정부 공무원 간 법령 해석에 차이가 발생하고 건축인허가 등 행정업무추진 과정에서 의견충돌과 논쟁, 나아가 법적 소송으로까지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 기준 관련 민원 발생 원인에서부터 출발하여 해당 기준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한 세부기준 및 운영방식 개선안 마련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모호한 기준에 대해서는 해설을 보강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인 건축행정업무 수행을 위한 운영 규정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의 현황과 한계, 주요 민원의 주안점을 살펴보았고 일본ㆍ미국 사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해당 결과를 토대로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운영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1) 연구 배경 2
2) 연구 목적 3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1) 연구 범위 3
2) 연구 방법 4
제2장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운영 현황 및 한계
1.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관련 법제도 현황 8
1)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운영 방식 8
2)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운영 목적 10
2.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주요내용 13
1)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의 제·개정 연혁 13
2)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 기준 세부내용 16
3. 소결 46
제3장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관련 민원의 주안점
1.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관련 민원 현황 50
1) 건축 민원 발생 현황 50
2)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관련 민원 발생 현황 51
2.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관련 민원의 주안점 61
1) 면적 산정기준 61
2) 높이 산정기준 79
3. 소결 85
제4장 국외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운영체계의 시사점
1. 일본 88
1)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운영 현황 88
2)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항목별 세부내용 89
2. 미국 104
1)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운영 현황 104
2)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항목별 세부내용 110
3. 소결 114
제5장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운영체계 개선 방안
1.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운영체계 개선 방향 120
1) 건축여건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 가능한 기준 운영방식 변경 120
2) 건축물 면적·높이 현안을 반영한 산정기준 개정 121
3)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해설 고도화 122
2.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세부내용 개선안 124
1) 세부내용 개선 방향 124
2) 목차 및 주요내용 124
3. 건축물 면적·높이 산정기준 관련 법령 개정안 133
참고문헌 135
Summary 139
부 록 143
김은희 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 건축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건축물 용도 기준 개선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20.10.31 조회수 108
- 건축물 실내공간 안전기준 개선 방안 auri brief 2020.08.30 조회수 325
- 창의적 연구업무 수행을 위한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세종시 국책연구단지 제2연구청사 설계방향 수립을 중심으로 - 연구보고서 2020.08.21 조회수 841
- 건축서비스산업 통계 구축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9.12.31 조회수 663
- 공동주택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9.12.30 조회수 286
- 건축물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및 제도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9.11.30 조회수 342
-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auri brief 2019.09.15 조회수 297
- 건축물 실내 공간 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안전기준 개선 연구 연구보고서 2019.09.11 조회수 198
- 건축기획 업무범위 및 대가기준 개선 방안 연구보고서 2017.12.31 조회수 372
- 소규모 공동주택 리모델링 활성화 방안 auri brief 2017.11.30 조회수 272
- 고령사회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 연구 연구보고서 2017.10.31 조회수 364
- 읍면동 행정청사 리모델링 가이드라인 연구 연구보고서 2017.09.16 조회수 239
- 건축물 안전관리 실태와 정책 시사점 auri brief 2017.04.30 조회수 163
- 건축물 안전강화를 위한 합리적 정책방향 연구 연구보고서 2016.10.31 조회수 214
- 소규모 공동주택 리모델링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6.09.13 조회수 273
- 설계의도 구현을 위한 업무와 대가기준 제안 auri brief 2016.08.30 조회수 314
- 공공건축물 리모델링 정책 방향 및 제도 개선 방안 auri brief 2016.04.15 조회수 438
- 설계의도 구현 표준 업무 및 대가기준 마련 연구 연구보고서 2015.12.31 조회수 373
- 리모델링 설계 표준업무 설정 및 대가기준 개선을 위한 연구 연구보고서 2015.12.31 조회수 308
- 공공청사의 합리적 계획을 위한 기준 설정 및 제도 개선 방안 auri brief 2015.11.15 조회수 474
- 공공건축물 활용성 제고를 위한 리모델링 정책지원 및 제도개선 연구 연구보고서 2015.10.31 조회수 324
- 안심마을 시범사업 안전인프라 운영 지침 auri brief 2015.09.30 조회수 428
-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실내건축의 구조·시공방법 등에 관한 기준 제안 auri brief 2015.05.15 조회수 321
- 여건변화에 따른 공공청사 계획기준 합리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4.12.31 조회수 370
- 디자인관리시스템을 활용한 그린리모델링 시범사업 기획업무 지원정책 제안 auri brief 2014.12.30 조회수 468
- 안전한 실내건축을 위한 마감 및 시설물 설치기준 등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2014.12.14 조회수 376
- 주민주도형 안심마을 조성 시범사업 모니터링 및 운영지침 마련 연구 연구보고서 2014.10.30 조회수 213
- 건축서비스산업 해외시장 진출 현황 및 지원 auri brief 2014.10.15 조회수 409
- 건축·도시 관련 공모형 지자체 지원사업의 정책개선 방안 auri brief 2014.08.15 조회수 393
- 공공건축 사업계획 사전검토 제도의 시행과 정책효과 auri brief 2014.07.15 조회수 378
- 실내건축공간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계획 방향 및 제도 개선 방안 auri brief 2014.04.30 조회수 331
- 지자체 건축·도시 관련 중앙정부 공모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3.12.31 조회수 719
-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건축서비스산업의 해외시장 진출 제도 개선 연구 연구보고서 2013.10.31 조회수 205
- 공공건축 디자인관리시스템 제도화 방안 auri brief 2013.10.02 조회수 335
- 공공건축 디자인품질관리시스템 시범적용 및 제도화 연구 연구보고서 2012.10.31 조회수 201
-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주거지 정비방안 연구 auri brief 2012.03.26 조회수 110
-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주거지 정비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011.12.31 조회수 214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