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 AURI-기본-2008-5
- 2008.12.31
- 128페이지
- 조회수 16946
I.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우리나라 공공공간의 현실
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내용
1) 연구의 범위
2) 주요 연구내용
3. 선행연구 검토
1) 선행연구 현황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II. 공공공간의 통합적 계획과 협력적 운영체계
1. 통합적 공공공간 계획의 개념과 필요성
1) 통합적 공공공간 계획의 개념
2) 여건변화와 통합적 계획의 필요성
3) 통합적 공공공간 계획의 기본방향과 목표
2. 통합적 계획을 위한 행정주체의 협력적 운영
III. 국내 공공공간의 조성방식과 협력적 운영체계
1. 공공공간의 조성과 운영 현황
1) 도시계획시설사업에 의한 공공공간
2) 다양한 개별사업에 의한 공공공간
2. 국내 협력적 운영방식의 유형과 사례
1) 계획간 조정을 위한 담당부서간 협의체계 운영
2) 개별사업에 따른 TF팀 운영
3) 총괄전담부서를 중심으로 한 협의체계 구축
4) 외부 전문가 활용을 통한 지원시스템 도입
3. 통합적 계획을 위한 국내 협력적 운영체계의 한계
IV. 해외 협력적 운영체계 구축사례
1. 관련 부서 간 협의체계 운영
1) 시애틀의 부서 간 협의회(IDT : Inter-Departmental Team)
2) 포틀랜드의 부서 간 상호협약(MOU : Memorandum of Understanding)
3) 관련 부서 간 협의체계 운영의 시사점
2. 도시디자인 부서를 중심으로 한 협력체계 구축
1) 시애틀의 도시디자인팀(City Design)
2) 포틀랜드의 도시디자인그룹(Urban Design Group)
3) 도시디자인 부서를 중심으로 한 협력체계의 시사점
3. 전담부서 설치를 통한 총괄관리
1) 리옹 공공공간 전담부서(Service Espaces Publics)
2) 밴쿠버의 그린웨이 전담부서(Greenways Branch)
3) 전담부서 설치를 통한 총괄관리체계의 시사점
4. 독립적인 도시설계 전문조직 운영
1) 싱가포르 도시재개발청(URA : Urban Redevelopment Authority)
2) 파리시 도시설계원(APUR : Atelier Parisien d'Urbanisme)
3) 독립적인 도시설계 전문조직 운영의 시사점
V. 공공공간의 통합적 계획을 위한 협력적 운영체계 구축방안
1. 공공공간의 협력적 운영체계 구축
2. 협력적 운영체계 구축을 위한 제도 개선안
VI. 연구의 성과와 한계
· 참고문헌
· Summary
· 부록1. 해외 공공공간 조성 및 관련제도 운영현황 조사
· 부록2. 지자체 공공공간 관련제도의 운영현황 - 김해시, 강동구
이상민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