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동네생활권 개념 도입 및 정책적 활용방안 연구
장민영 부연구위원 성은영 연구위원 정인아 부연구위원 변은주 연구원
  • 기본연구보고서 2022-16
  • 2022.12.31
  • 217페이지
  • 조회수 1417436
요약

코로나19 이후 뉴노멀시대는 디지털 서비스의 일상화를 촉진하며 삶의 방식과 기준 등 사회 전반에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재택근무나 온라인 교육의 확산으로 원거리 이동이 줄어들고 동네 안에서 일상생활을 즐기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집 주변 근거리 생활반경 내에서 먹거리, 즐길거리, 놀거리, 일거리 등을 누릴 수 있는 동네 인프라나 생활밀착형 서비스로의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동네 중심의 플랫폼 서비스 확대, 동네상권 강세 등 주거지역 경제생태계와 커뮤니티 구축 양상도 달라지게 하고 있다.

이렇게 집과 동네 중심으로 일상생활이 재편되면서 동네·근린 단위 도시계획이 주목받고 있다. 파리의 ‘15분 도시’나 멜버른의 ‘20분 도시’ 등의 해외 정책사례뿐만 아니라 서울시의 ‘보행일상권’이나 부산시의 ‘15분 도시’와 같이 국내에서도 생활권 계획 수립과 n분도시 실현을 위한 사업추진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는 인구·가구구조의 변화,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의 등장, 디지털 전환 등에 따른 공간 기능과 생활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주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근린 단위의 공간관리로 전환해가는 경향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지역의 생활환경 개선이나 공동체 활성화 등 주민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도시재생이나 지역 활성화 관련 정책들은 주민들의 실질적인 생활권역과 일상생활 특성에 대응하는 치밀한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4차 산업혁명 등 사회경제적 변화와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가변적인 계획여건을 반영하기 위한 공간적 범위로서 ‘동네생활권’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도입 및 활용하기 위한 정책지원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5

2. 연구범위 및 방법 6

  1) 연구범위 6

  2) 연구방법 7

  3) 연구 추진절차 9

3. 선행연구 검토 10

  1) 선행연구 현황 10

  2) 본 연구의 차별성 11


제2장 동네생활권 개념 및 도입 필요성

1. 동네생활권 관련 논의 및 정책동향 15

  1) 도시공간의 변화와 동네생활권 개념 논의 15

  2) 생활권 관련 이론 및 정책동향 21

  3) 동네 단위 지역 활성화 관련 정책 추진현황 30

  4) 동네생활권 도입 필요성 35

2. 동네생활권 개념 및 일상생활활동 구분 37

  1) 동네생활권 개념 및 특징 37

  2) 동네생활권 내 일상생활활동 39


제3장 국외 동네생활권 계획 및 정책 사례분석

1. 분석개요 51

  1) 분석목적 51

  2) 사례선정 및 분석내용 52

2. 동네생활권 계획 수립 및 정책 추진 사례 53

  1) 장소유형에 따른 특성화 : 미국 멤피스 종합계획 53

  2) 지역특화 도시설계 전략 제시 : 미국 포틀랜드 2035 종합계획 디자인 지침 60

  3) 동네생활권 도시환경 평가·분석 : 캐나다 오타와시 15분 네이버후드 65

  4) 도시공간관리 세분화 : 중국 상하이시 15분 생활권 69

  5) 전략적 개발·투자지역 설정 : 영국 런던 기회지역 77

3. 소결 80


제4장 동네생활권 설정을 위한 시범적 탐색 및 분석

1. 분석개요 83

  1) 분석목적 및 방법 83

  2) 분석대상지 87

2. 대구광역시 북구 생활권 탐색 89

  1) 탐색 개요 89

  2) 생활권 탐색 및 도출 90

3. 근린지역별 동네생활권 탐색 94

  1) 탐색 개요 94

  2) 침산2·3동 동네생활권 탐색 97

  3) 산격3동 동네생활권 탐색 111

  4) 관음동 동네생활권 탐색 125

4. 소결 138

  1) 동네생활권 형성 특성 138

  2) 동네생활권 설정의 이슈 142


제5장 동네생활권 도입 및 정책적 활용방안

1. 동네생활권 도입방향 143

  1) 동네생활권 도입목적 및 활용범위 143

  2) 동네생활권 기본원칙 및 도입방향 145

  3) 동네생활권 탐색항목 및 설정절차 146

2. 동네생활권 활용방안 150

  1) 생활권계획의 세부 공간단위로 동네생활권 활용 150

  2) 근린 활성화를 위한 사업구역으로서 동네생활권 및 동네거점 활용 154

  3) 생활서비스 공급 및 전달체계 강화를 위한 동네거점 활용 157

  4) 주민참여형 계획 수립 및 사업 추진을 위한 공간단위로 활용 158


제6장 결론

1. 연구성과 161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추진과제 164


참고문헌 167

SUMMARY 175

부록 : 동네생활 특성 및 주민수요 조사결과 181

장민영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