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한옥활성화를 위한 신한옥 모델개발 연구 (3)
이강민 부연구위원 이민경 구본현
  • AURI-한옥-2014-2
  • 2014.12.31
  • 186페이지
  • 조회수 2553
요약

최근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건강, 웰빙, 친환경적인 주거생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한옥 거주를 희망하는 수요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는 우리의 전통주거양식인 한옥이 과거의 생활 모습을 유추해볼 수 있는 사료임과 동시에, 현대 주택유형의 하나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편리한 생활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에게 전통생활양식에 맞추어진 한옥은 쉽사리 선택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희망수요가 실제수요로 이어지지 않았다. 이를 극복하고 개선하기 위해 한옥의 현대화를 주제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현대 생활의 편리함을 품은 ‘신한옥’, ‘생활한옥’, ‘현대한옥’ 등의 용어가 등장하였다. 하지만 현대생활의 편리함에 초점을 둔 나머지, 한옥 고유의 전통미, 친환경성 등 한옥거주로 인해 누릴 수 있는 혜택이 사라지고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옥이 지니고 있는 장점을 부각시키면서 현대생활의 편리함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변화되고 있는 한옥의 모습들을 살펴보면서, 한옥의 현대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에서는 2012년부터 한옥 리모델링에 대한 시리즈 연구를 기획하여, 한옥의 공간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연차별로 진행해왔다. 1차 년도에는 생활의 중심공간인 대청과 방, 2차 년도에는 수요자들의 요구가 가장 높은 부엌, 화장실, 보일러실의 리모델링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3차 년도 연구로서, 한옥 거주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던 외부공간인 마당과 더불어 경관요소로서 중요도가 높은 담장, 대문, 홈통 및 외부설비를 중심으로 현대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옥의 수요조사 결과, 마당, 담장, 대문 등을 포함하는 외부공간은 지붕 다음으로 한옥이 갖추어야 할 필수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방, 부엌, 대청, 화장실 등의 내부공간과 더불어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시경관적인 요소로서도 중요도가 높아 지자체 한옥지원조례에도 담장 및 외벽, 대문에 대한 기준을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옥의 외부공간인 마당, 담장 및 외벽, 대문, 기타 외부설비 등을 중심으로 사용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한옥 거주자 및 수요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한옥의 전통미를 보전하면서 현대생활의 편리함을 수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 연구의 범위 3
2) 연구의 방법 3
3. 연구의 내용 5

제2장 지혜가 담긴 마당 7
1. 마당의 사용현황 및 특징 7
1) 현황 및 문제점 7
2) 마당의 개보수 경향 8
2. 환경조절이 가능한 마당 13
1) 다양한 바닥재료 13
2) 온도조절을 위한 마당의 비움 17
3. 내부공간 기능 수용을 위한 마당 21
1) 바닥레벨 조정을 통한 공간연결 21
2) 누마루, 테이블 등을 설치하여 공간활용 26
3) 수납공간 마련 31
4) 차양설치 32
5) 개별 마당의 계획 34
4. 정원이 있는 마당 40
1) 차경 및 장식적 요소로의 정원 40
2) 식재료 생산의 채원 44
3) 물을 활용한 마당 45
4) 마당의 확장 48

제3장 경계와 경관요소로의 담장·외벽 51
1. 담장·외벽의 현황 및 특징 51
1) 현황 및 문제점 52
2) 담장·외벽의 개보수 경향 53
2. 방범과 대지경계 요소로의 담장 58
1) 이웃대지와의 경계를 고려한 담장의 위치 58
2) 안전과 사생활 보호를 위한 담장의 높이 60
3. 시야의 개방감을 고려한 담장 62
1) 주마창, 살창 등 창호설치를 통한 개방성 확보 62
2) 차경을 고려한 담장 67
4. 담장의 활용과 경관요소로의 담장 69
1) 담장의 활용 69
2) 담장의 다양한 패턴과 재료 71
3) 담장 밑의 조경 88

제4장 상징과 소통의 대문 97
1. 대문의 현황 및 특징 97
1) 대문의 기능 및 종류 97
2) 대문의 개보수 경향 101
2. 외부와의 소통을 위한 대문 102
1) 접객을 고려한 진입공간 확보 102
2) 중문의 설치 106
3) 협문의 설치 108
4) 대지의 형태와 위치를 고려한 대문 109
5) 우편함의 설치 및 디자인 111
3. 의장요소로의 대문 114
1) 문지방의 유무에 따른 대문형태 114
2) 평대문과 일각대문 123
4. 안전을 고려한 대문 129

제5장 경관을 고려한 홈통 및 외부설비 131
1. 홈통 및 외부설비의 설치현황 및 문제점 131
1) 홈통 및 외부설비의 현황 및 문제점 131
2) 홈통 및 외부설비의 개보수 경향 133
2. 경관을 고려한 홈통 및 외부설비 설치방안 134
1) 외부배관 및 계량기 설치 134
2) 우수처리 방안 145
3. 기타 설비 152
1) 화재방지를 위한 소화기 설치 152
2) 주차공간 확보 153
3) 조명시설 157

제6장 연구요약 및 기대효과 159

참고문헌 163
SUMMARY 165

이강민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