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신 기후체제 대비 건축물 분야 기후변화 취약성 진단 연구
이은석 부연구위원 고영호 박성남
  • 기본연구보고서 2017-11
  • 2017.12.31
  • 143페이지
  • 조회수 7037
요약 기후변화 대응정책에는 도시와 건축물에 대한 항목이 별도로 필요하다. 도시생활은 건축물과 밀접하기 때문이다. 사람의 편의에 따라 건물을 짓고 생활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환경을 변화시켰기 때문에 자연계와 달리 복잡성이 증가했다. 도시 환경이라 할지라도 예상지 못한 재해와 그 피해에 자유롭지 못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은 도시에 살며 건축물에서 재해를 피하기도 하고, 그 안에서 피해를 입기도 한다.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머무는 장소 또한 건축물이다. 주요한 경제적 피해와 그에 따른 복구대상에도 도로 등 기반시설과 건축물이 포함된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후변화 대응정책에는 건축물과 도시환경이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해보고자 하는 연구 질문은 첫째, 특정 자연재해에 대해 반복적인 피해를 받는 건축물의 특성 파악이다. 둘째, 개별 건축물이 갖고 있는 설명 가능한 특징을 파악하고 유사한 특성을 갖는 건축물들의 군집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는 해당 건축물의 거주자가 반복적인 피해를 입는 이유에 대한 단서를 찾고 향후 건축물이 변경될 수 있는 기회에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목차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7
2. 연구범위 및 방법 9
1) 연구범위 9
2) 연구방법 : 산·학·연간 협동연구 수행 10
3) 연구수행과정 14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15
1) 기후변화 적응관련 연구 및 본 연구와 차별성 15
2) 취약성 분석관련 연구 및 본 연구와 차별성 16

 

제2장 기후변화 적응 정책·연구동향 21
1. 기후변화 적응 정책 동향 21
1) 파리협정에 따른 기후변화 정책 변화 21
2) 기후변화 적응정책 해외 동향 22
3) 국내 기후변화 적응분야 정책 동향 31
2.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진단 연구동향 35
1) 해외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 연구동향 35
2) 국내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 모형 40
3. 기후변화 적응정책·취약성 분석에 관한 시사점 48
1) 기후변화 취약성 관련 정책동향과 시사점 48
2) 기후변화 취약성 진단 관련 모형연구와 시사점 50
3) 건축물 분야의 기후변화 취약성 진단모형연구의 방향성 51

 

제3장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체계 정립 53
1.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을 고려한 현황진단의 방향 53
1)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취약성 진단 방법론의 재구성 53
2) 취약성 진단의 조건 정립 55
3) 종합 61
2. 재해 위험성 진단을 위한 공간분석 체계 62
1) 지표수 침수피해 위험 건축물 분석 체계 62
2)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한 유의성 검증체계 68
3. 재해 위험성 진단 활용 건축물 관련 변수 결정 70
1) 재해 위험성 진단용 변수 선정 70
2) 재해 위험성 진단을 위한 공간정보변수 72

 

제4장 건축물 재해 위험성 분석 및 취약성 진단 적용 75
1. 기초 데이터베이스 구성 및 논리구조 75
1) 기초 데이터베이스 구성 및 정제 75
2) 건축물 재해 위험성 진단의 논리구조 79
2. 건축물 재해 위험성 분석 83
1) 건축물 재해 위험성 진단에 적용된 공간 변수의 특징 83
2) 최소자승법을 사용한 공간회귀방정식 결과 87
3) 공간패턴 분석과정을 통한 취약성 진단결과 89
3. 건축물 재해 위험성 분석 결과 해석 93
1) 독립변수의 데이터 특성을 통한 진단 모형 검증 93
2) 건축물 재해 위험성 분석 결과의 공간 해상력 96
3) 웹 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을 통한 활용방안 97
4. 건축물 분야 기후변화 취약성 진단 적용관련 정책적 함의 101
1) 건축물 재해위험성 분석 결과의 기후변화 취약성 진단에 적용 101
2) 건축물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건축기준에 적용 104
3) 신 기후체제 대응 건축물분야 기후변화 적응정책에 활용 106

 

제5장 결론 109
1. 연구와 정책적 의의 109
1) 연구의 종합적 의의 109
2) 정책적 의의 110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111

 

참고문헌 113

 

SUMMARY 121

 

부 록 127

이은석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