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건축행정 데이터를 활용한 건축물 연령 지표 개발 연구
송유미 연구원 조영진 선임연구위원 안의순 부연구위원
  • 기본연구보고서 2024-10
  • 2024.10.31
  • 275페이지
  • 조회수 291
요약

본 연구에서는 건축행정 정보를 활용하여 건축물의 경과연수와 같이 지역 건축물의 노후 특성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생산한 지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와 함께 해당 지표를 통한 지역 특성 확인의 가능성을 군집분석 및 타 통계지표와의 연계 분석 등을 통해 확인하고 정책과 사업 추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활용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7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8

  1) 연구범위 8

  2) 연구방법 8

  3) 연구수행과정 9

3. 선행연구 검토 10


제2장 건축물 연령 정보의 활용 실태 조사

1. 건축물 연령 정보 구축 및 제공 현황 13

2. 건축물 연령 정보 활용 실태 18

  1) 법‧제도 18

  2) 정책‧계획 25

3. 소결 37


제3장 건축물 연령 지표 개발

1. 건축물 연령 데이터 분석 43

  1) 건축물의 연령 데이터 44

  2) 건축물 연령 데이터 추출 47

  3) 건축물 연령 분석 데이터 54

2. 건축물 연령 피라미드 작성 및 분석 55

  1) 전국 58

  2) 광역지자체 60

  3) 기초지자체 78

3. 소결 106


제4장 건축물 연령 지표와 지역 특성 비교 분석

1. 군집분석 방법 109

  1) 군집방법 111

  2) 유사성(근접성) 측도 112

  3) 군집 방법 비교 113

2. 건축물 연령 구조 군집화 115

  1) 건축물 연령 구조 특성 115

  2) 건축물 연령 군집분석 결과 116

  3) 지역별 건축물 연령 분포 군집 122

3. 건축물 연령 구조 군집별 지역 특성 분석 125

  1) 지역 특성 자료 125

  2) 군집별 지역 특성 비교 127

  3) 건축물 연령과 지역 특성의 관계 138


제5장 결론

1. 연구 성과 및 정책 활용 방향 141

  1) 연구 성과 141

  2) 정책 활용 방향 145

2.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154


참고문헌 155

SUMMARY 159

부록 165

송유미 연구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