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고령자 건강 빅데이터 분석과 지역사회 생활환경의 고령친화도 진단
고영호 부연구위원 한승연 연구원 손동화 부연구위원
  • 일반연구보고서 2020-3
  • 2020.12.31
  • 211페이지
  • 조회수 161671
요약

본 연구는 기존 지역사회 생활환경 진단지표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와 사례를 검토하여 지역사회 생활환경 고령친화도 진단지표를 선정하고 진단방법을 개발하였다. 외부공간과 시설, 교통, 주택 영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생활환경 고령친화도 진단항목을 지표화하고, 공공행정정보에 따른 고령자 인구수 중심으로 각 지표의 의미를 대변할 수 있는 공공행정정보를 수집하였다. 경기도 31개 시・군을 시범적용 대상으로 선정하고 2019년 12월 기준 인구 데이터와 2020년 시기에 가까운 고령친화도 진단 행정정보를 활용하였다. 경기도 31개 시・군 지역 사회 생활환경의 고령친화도는 물리적 환경 12개 지표, 사회적 환경 7개 지표, 서비스 환경 9개 지표로 구분하여 진단하고 결과를 정리하였다. 진단결과는 z-score(t-score)로 표준화하고 합산하여 지표별 상이한 단위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앞서 분석한 전국 시・도별 고령자 건강・질환 분석 결과 중 경기도 지역에 한정하여 시・군 단위 상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경기도 31개 시・군 28개 고령친화도 진단결과와의 피어슨(Pearson)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고 결과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가 도출한 지역사회 생활환경 고령친화도 진단은 전국에 적용가능하며 지자체 실무담당자 및 국민 누구라도 공공행정자료를 통해 수시로 반복하여 시행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시범적용한 바, 경기도 내에서의 시・군 지역 간 고령사회 대응 현황 비교에 한정되었다는 한계를 갖는다. 아울러 고령친화 생활환경의 조성은 시・군 단위 보다 작은 행정동 또는 일정 규모의 집계구 집합 규모 단위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고려할 때, 시・군 단위의 고령친화도 시범진단 결과해석 및 시사점 도출의 한계를 갖는다. 추후 본 연구에서 도출한 고령친화도 진단지표를 활용하여 행정동 등 소규모 지역단위에 적용 가능한 진단지표와 진단방법으로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 향후 전국 단위로의 적용을 통해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정량적 고령친화도 진단이 시행되고 나아가 보급・확산되어 지역별 수시 진단이 시행되어 지역사회별 고령사회 대응 현황 특성이 반영된 고령친화 도시・커뮤니티 조성 정책과 계획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 진단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2) 연구의 목적 4

2. 진단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방법 5

3. 고령친화 도시환경 관련 이론 및 법제도 고찰 9

  1) 고령친화 도시환경 관련 이론 9

  2) 고령친화 생활환경 관련 법제도 12

  3) 고령친화 생활환경 관련 정책 13

4. 본 진단 연구의 차별성 17

  1) 선행연구 현황 17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2


제2장 고령자 건강 빅데이터 분석

1. 건강 빅데이터 개요 24

  1) 국민건강보험공단 DB 24

  2) 국민건강영양조사 DB 26

  3) 지역사회건강조사 DB 28

  4) 노인실태조사 DB 30

  5) 건강 빅데이터 DB 구성 31

2. 시도별 건강 빅데이터 현황 분석 32

  1) 국민건강보험공단 환경성질환 DB 분석 32

  2) 국민건강영양조사 DB 39

  3) 지역사회건강조사 DB 44

  4) 노인실태조사 DB 50

3. 시도별 건강 빅데이터 종합 분석 55


제3장 지역사회 생활환경 고령친화도 진단

1. 기존 지역사회 생활환경 고령친화도 진단지표 60

  1) 고령친화도 진단지표 주요 선행연구 검토 60

  2) 기존 고령친화도 진단지표 종합 66

  3) 지역사회 생활환경 고령친화도 진단지표 기본 틀 수립 68

2. 지역사회 생활환경 고령친화도 진단지표 개발 69

  1) 지역사회 생활환경 고령친화도 진단지표 수립 개요 69

  2) 지역사회 생활환경 고령친화도 진단지표 수립 69

3. 지역사회 생활환경 고령친화도 시범 진단 74

  1) 시범지자체(경기도) 대상 지역사회 생활환경 고령친화도 진단지표 적용 74

  2) 시범지자체(경기도) 지역사회 생활환경 고령친화도 진단지표별 분석 75

  3) 시범지자체(경기도) 지역사회 생활환경 고령친화도 진단 종합 91

4. 고령자의 건강과 지역사회 생활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99

  1) 상관관계 분석 개요 99

  2) 상관관계 분석 결과 100


제4장 결론

1. 연구결과 종합 104

2. 시사점 108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10


참고문헌 111


SUMMARY 121


부록 125

고영호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