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보도자료
조치원 문화정원, 세종 1호 “우수건축자산” 등록
- 작성일2025/02/06 16:12
- 조회수315
조치원 문화정원, 세종 1호 “우수건축자산” 등록
-세종시, 1935년 조성된 정수장을 전시·카페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
-국토부, 도시건축자산 창출을 위해 「제3차 건축자산 진흥 기본계획」 연내 수립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와 세종시(시장 최민호)는 2월 6일 세종시 조치원 문화정원, 1927아트센터, 장욱진 생가 등 3곳을 세종시 우수건축자산 제1호에서 제3호로 최초 등록한다고 밝혔다.
□ ‘건축자산*’이란, 현재·미래에 걸쳐 사회경제·역사문화·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어 건축문화 진흥 및 지역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는 건축물 등을 말한다.
* 근거법 : 한옥 등 건축자산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건축자산법”) 제2조
ㅇ 특히, 건축자산 중 체계적 관리 필요성이 인정되어 건축위원회 심의를 거쳐 등록된 ‘우수건축자산’은 지역의 도시건축·역사·문화를 대표하는 특화공간으로, 도시재생 및 지역활력 회복을 위한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ㅇ 우수건축자산으로 등록하면 해당 건축자산을 활용하기 위한 건폐율 및 부설주차장 설치 등 건축규제를 완화해서 적용받을 수 있다.
□ 이번에 세종시 우수건축자산으로 등록되는 3곳은 ‘세종시 제2차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 수립’ 과정에서 발굴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먼저, 제1호 우수 건축자산인 ‘조치원 문화정원’은 1935년 정수장으로 조성되어 2013년부터 폐쇄·방치된 정수장 시설과 주변 근린공원을 통합하여 2019년 1.06만m2 규모의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킨 곳이다.
- 외형을 그대로 보존한 정수장을 재해석하여 활용한 전시·체험·휴식공간과 자연환경(조천, 벚나무 등)이 함께 어우러져 세종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지역주민·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ㅇ 제2호 우수건축자산인 ‘조치원 1927아트센터’(1,427m2)는 1927년 섬유공장으로 설립되어 제지공장 등으로 활용되다 2003년 폐쇄되어 20년간 방치되었다가 훼손된 부분을 복원하여 재탄생시킨 문화거점 공간이다.
- 근현대 공장의 전형적인 형태인 ‘목조 트러스 구조’로 이뤄져 있어
근현대 조치원의 모습과 목조건축 역사를 함께 볼 수 있는 건축자산으로, 공연·전시관, 카페 등 문화휴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ㅇ 제3호 우수건축자산인 ‘장욱진 생가’(지상1층, 115.7㎡)는 한국 근현대미술 거장이자 ‘동심의 화가’로 불리는 장욱진 화백 생가로, 1905년 건립된 주택의 안채 원형이 잘 보존되어 근대 문화·역사적 가치가 높은 건축물이다.
ㅇ 세종시는 이번에 등록된 우수건축자산 3곳을 세종시의 핵심 관광문화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국토부는 전국적으로 6,624개소 분포하고 있는 건축자산의 진흥 및 체계적 활용·보전과 미래 우수건축자산 창출을 위해 올해 ‘제3차 건축자산 진흥 기본계획*(2026~2030)’ 수립을 추진한다.
* 건축자산법에 따라 국토부 장관이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수립하는 5년 단위 기본계획으로, 건축자산 진흥을 위한 기반구축, 조사·연구, 전문인력 양성 등을 포함
ㅇ 올해 2월 중 기본계획 용역을 발주해 연내 수립 완료할 계획으로,
특히 이번 계획에는 우수한 건축자산이 지역의 도시건축·문화·관광 거점이 될 수 있도록 실효적 제도 개선방안 등을 담을 계획이다.
□ 국토부 장우철 건축정책관은 “지역 정체성과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건축자산은 방치하면 흉물이 되지만, 잘만 보전·활용하면 쇠퇴하고 있는 도시를 재생하고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훌륭한 ‘도시건축자산’이 된다”고 강조하였다.
ㅇ 아울러, “더 좋은 건축이 더 좋은 사람, 더 좋은 사회를 만든다며,
우수한 도시건축자산을 창출할 수 있도록 앞으로 제도적 기반 마련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세종시 이두희 도시주택국장은 “우수건축자산을 꾸준히 발굴해 세종시의 건축자산을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하도록 할 것”이라며 “우수건축자산에 대한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
담당부서 <총괄> |
국토교통부 건축정책관 |
책임자 |
과 장 |
이병민 |
(044-201-3062) |
건축문화경관과 |
담당자 |
사무관 |
김보민 |
(044-201-3779) |
|
주무관 |
방영홍 |
(044-201-3783) |
|||
<공동> |
세종특별자치시 |
책임자 |
과 장 |
박병배 |
(044-300-5410) |
건축정책과 |
담당자 |
사무관 |
김기후 |
(044-300-5411) |
|
주무관 |
최윤조 |
(044-300-5413) |
|||
<공동> |
건축공간연구원 |
책임자 |
센터장 |
손은신 |
(044-417-9696) |
건축문화자산센터 |
담당자 |
연구원 |
김가람 |
(044-417-9641) |
|
<공동> |
대전세종연구원 |
책임자 |
연구위원 |
이자은 |
(044-550-3541)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건축공간연구원 김가람 연구원(☎044-417-9641)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
보도자료_세종시 우수건축자산.hwp (27.12MB / 다운로드 161회) 다운로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