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13건
-
에너지 빈곤층을 위한 집수리 정책 개선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7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8 1) 연구의 범위 8 2) 연구의 방법 8 3. 선행연구 검토와 연구의 질문 10 1) 선행연구 검토 10 2) 본 연구의 차별성 10 3) 연구의 질문 12 제2장 에너지 빈곤층 현황과 집수리 지원 필요성 1. 에너지 빈곤층 정의 및 지표 13 1) 에너지 빈곤층 정의 13 2) 에너지 빈곤층 지표 15 2. 에..
-
건축자산 관리와 활용을 위한 국가의 지원정책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6 1) 건축자산 개념 검토 및 연구의 범위 6 2) 연구의 방법 10 3) 연구의 흐름 11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12 1) 선행연구 현황 12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4 제2장 국내 건축자산 지원정책 및 추진 현황 1. 국가 차원의 건축자산 지원정책 및 추진현황 16 1) 국토교통부 지원..
-
지역 공공시설 자산관리계획에 관한 기초연구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2 2) 연구의 목적 6 2. 연구의 범위 및 주요내용 7 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7 2) 연구 수행방법 12 3) 연구의 주요내용 13 3. 선행연구 성과분석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4 1) 선행연구 성과분석 142) 선행연구의 한계 및 본 연구의 차별성 25 제2장 우리나라 지역 공공시설 자산관리 도입 필요성 및 여건 27 1. 지역 공공시설 자산관리 개념 및 주요쟁점 28 1..
-
지방중소도시의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모델 개발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6 2. 연구문제 6 3. 연구의 범위 및 연구 방법 7 1) 연구의 범위 7 2) 연구의 방법 7 4. 선행연구의 검토 및 차별성 8 제2장 스마트축소 도시재생의 개념 및 방법 11 1.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개념의 전개 11 1) 인구 증가 시대와 감소 시대의 도시계획 11 2)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개념 정립 15 3) 스마트축소 도시재생 ..
-
커뮤니티 자산으로서의 건축자산 보전활용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0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2 제2장 건축자산의 커뮤니티 자산화 필요성 1. 커뮤니티 자산의 이론적 검토 13 1) 커뮤니티 자산의 개념 13 2) 선행연구 및 이론에서 논의된 커뮤니티 자산의 유형 17 3) 커뮤니티 자산화 개념 21 2. 건축자산의 개념 및 가치로 살펴본 필요성 24 3. 유관 정책 및 사업 추진현황으로 살펴본 필요성 28 1) 건축..
정기간행물 16건
-
사회혁신프로그램으로 시작하는 어촌어항재생
어촌활력증진지원 시범사업은 국비지원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대안으로, 사회혁신프로그램을 도입하였다. 시범사업에서 사회혁신프로그램은 어떻게 운영되어 왔고, 앞으로 무엇을 개선해 나가야 할까? 정책이슈 : 사회혁신프로그램으로 시작하는 어촌어항재생 살고 싶고 찾고 싶은 어촌 만들기 정책_명상순 어촌활력증진지원 시범사업과 사회혁신프로그램 도입 의미_정인아 보건・의료 사각지대를 비추는 지속가능..
-
마을에서 시작하는 도시재창조의 실현
최근 기존 정비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점진적이고 지속가능한 장소단위의 계획 수립이나 사업 추진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치적으로도 국민행복을 화두로 다양한 정책을 제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행복한 삶의 공간을 만들고 가꾸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도시재창조, 마을단위 계획, 마을만들기 등 도시정책 패러다임이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물리적 환경 개선만을 위..
-
2013년을 공간복지정책의 원년으로
새 정부의 출범과 함께 ‘맞춤형 복지’가 주요 정책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복지정책의 근간이 되는 복지인프라 구축의 관점에서 복지공간의 확충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저출산고령화시대로 접어들면서 보육시설의 확충이나 노인요양시설 등에 대한 공공투자를 늘리는 것은 보편적 복지의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현정부의 행복프로젝트인 행복주택, 행복어린이집, 행복기숙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뿐..
-
바이든 시대, 건축도시 부문 그린뉴딜의 전망과 시사점
요약 •국제사회의 기후위기 대응과 코로나발(發) 경제위기 대안으로 그린뉴딜이 다시 부상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EU 등 세계 주요국 및 국제기구는 그린뉴딜 정책을 추진 중 •2020년 7월 그린뉴딜을 한 축으로 하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 그린뉴딜의 핵심 정책사업으로 그린리모델링, 그린스마트 스쿨, 스마트 그린도시 등 건축도시 관련 정책사업이 다수 포함 •그린뉴딜 정책을..
-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토지이용체계 개편에서 시작하다
정부는 농촌 토지이용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농촌 토지이용체계 개편을 위한 농촌특화지구를 도입하였다. 이번 호에서는 제정 법률의 주요 내용과 농촌 토지이용체계 현황과 개편 방향, 농촌특화지구 운용 과제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정책이슈 :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토지이용체계 개편에서 시작하다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 ..
단행본 2건
-
2017 AURI 정책제안
《 목차 》 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의 효과와 개선방안 001조영진 부연구위원, 조상규 연구위원, 안지수 연구원 지역건축기본계획의 실효성 확보 방안 009김영현 부연구위원 공공건축물 리모델링 정책 방향 및 제도 개선 방안 021김은희 부연구위원, 염철호 연구위원 공사중단 건축물 실태조사 추진 및 제도 개선 방안 029임유경 부연구위원, 임현성 연구원 건축서비스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공적개발원조(ODA..
-
2016 AURI 정책제안
《 목차 》 건축협정제도의 정착과 확산 정책 001여혜진 부연구위원 범죄예방 환경설계 사업 현황 및 제도 개선방향 009유광흠 선임연구위원, 손동필 연구위원 미집행 도시공원 관리체계 및 제도 개선 제안 017이상민 연구위원, 심경미 부연구위원 공사중단 건축물 실태조사 추진 및 제도 개선 방안 029임유경 부연구위원, 임현성 연구원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역할과 운영 방안 041박성남 부연구위원 근린재생 선..
세미나·포럼 2건
-
- 행사명 : 제2회 마을재생 세미나
- 주제 : 포틀랜드의 밤
- 기간 : 2020-06-02 ~ 2020-06-02
- 장소 : 광주 희재가
- □ 추진 배경 • 지역기반 대형 제조업이 빠져나간 산업공백 대안으로 창의적 소상공인 생태계를 구축한 미국 포틀랜드 사례 공유하기 위해 제2회 마을재생 세미나 기획 • 지방 중소도시의 창의적 재생 사례인 포틀랜드를 최근 3년 이내 다녀온 주체들이 각각의 시각으로 해석한 포틀랜드의 시사점 공유 □ 프로그램 • 주제발표 1. 윤주선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마을재생센터장 • 주제발표 2. 김태관 광..
-
- 행사명 : 2018 민관협력 도시활성화 국제세미나
- 주제 : 갑을 말고 파트너로 - 공공과 민간이 함께 바꾸는 도시의 새로운 기준
- 기간 : 2018-12-04 ~ 2018-12-04
- 장소 : 연남장(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 5길 22)
- ❚개요 • 주 제 : 갑을 말고 파트너로 - 공공과 민간이 함께 바꾸는 도시의 새로운 기준 • 일 시 : 2018년 12월 4일(화) 17:00 ~ 19:30 • 장 소 : 연남장(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 5길 22) • 주 최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주 관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발제 및 토론자 • 주제발표 1. 민관협력을 위한 민관역할의 재편 윤주선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부연구위원 ..
auri 소식 4건
-
제2회 마을재생 세미나 개최
A Night of Portland 6/2 19:30 포틀랜드의 밤 AURI 마을 재생 세미나 혼성토크 그룹 모종린 연세대 교수 김태관 광주방송 pd 방지민 프리랜서 작가 윤현석 무등산 브루어리 대표 이현덕 론드리프로젝트 대표 남윤주 블랙야크 마케팅 팀장 윤주선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부연구위원 auri 건축도시공간연구소 online live seminar youtube 'auri..
-
건축문화신문 162호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 제해성 소장 인터뷰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 제해성 소장 인터뷰 건축문화신문 162호(2013년 7월 16일) “국민 삶의 질 개선을 통한 ‘국민행복’이라는 목표에 매진” 지난 2007년 6월 개소한 ‘건축도시공간연구소(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이하 AURI)는 정부 부처, 관련 학회 및 협회의 1여 년에 걸친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으로 탄생한 최초의 건축·도시·공간분야 국책연구기관이다. 최근 건축서비스산업진흥법 제정과..
-
워터프론트 레벨업 인천
▲ 바다를 매립해 만든 일본 미나토미라이21은 계획 초기 단계부터 '개방형 수변 공간'을 설계했다. 사진은 미나토미라이21 전경. /경인일보DB ※ '2012' 워터프론트, 왜 인천인가"사계절 중 인천의 여름은 한층 그 성망이 높다. 다시 말하면 바닷물과 함께 인천을 의미한다. 혹은 고기잡이를 하거나 혹은 풍광을 구하기 위하여 혹은 수영을 하기 위하여 여름날, 인천에..
-
테스트_auri brief
바이든 시대, 건축도시 부문 그린뉴딜의 전망과 시사점 auri brief No. 200 2022.2.00 지석환 연구원 남성우 부연구위원 이은석 부연구위원 "그린뉴딜 정책을 전면에 내세운 미국 정부의 출범이 한국판 그린뉴딜의 추진에도 일정 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단순한 낙관에 그치지 않고 이를 한국판 그린뉴딜의 성공적인 추진 기회로 삼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대응 방향을 모색하고 실행해야 ..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