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7건
-
국가민속문화유산 생활기본시설 설치기준 개정방안 연구 - 민속마을 내 가옥의 물사용공간을 중심으로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6 3. 선행연구의 현황 및 차별성 9 제2장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제도 및 현황 1. 국가민속문화유산의 지정 제도 11 2. 국가민속문화유산의 지정 현황 15 제3장 국가민속문화유산 생활기본시설 현황 및 쟁점 1. 국가민속문화유산 생활기본시설 설치 관련 제도 19 2. 국가민속문화유산 건축물 및 증축 현황 33 3. 국가민속문화유산 생활기본시설 설치 관..
-
지자체 건축자산 진흥 정책의 추진 현황과 과제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2 2) 연구의 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방법 6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7 4. 연구흐름도 14 제2장 지자체 건축자산 진흥 정책 추진 현황과 주요 현안 1. 조례 제정 현황과 주요 내용 16 1) 지자체 건축자산 조례 개요 16 2) 주요 내용별 지자체 조례 현황 18 2. 시행계획 수립 현황과 주요 내용 ..
-
한옥 등 건축자산 밀집지역 지구단위계획의 현안과 과제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4.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6 5. 연구흐름도 11 Ⅱ 역사문화유산과 지구단위계획의 제도적 연관성 및 주요 이슈 검토 12 1. 지구단위계획 제도의 개요 12 2. 역사문화유산과 지구단위계획 제도의 연관성 검토 21 3. 역사문화유산 관련 지구단위계획의 주요 이슈 검토 32 4. 소결 36 Ⅲ 건축자산 진흥구역 내 지구단위계획 ..
-
소록도 문화유산 지정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6 3. 선행연구의 현황 및 차별성 9 4. 연구흐름도 12 제2장 소록도 문화유산 지정 관련 주요 현황 13 1. 소록도의 기본현황 13 2. 소록도 관련 여건 변화 29 제3장 선행연구 및 국내외 사례를 통한 대안 검토 33 1. 면단위 문화유산 관련 제도 현황 33 2. 선행연구의 대안 검토 55 3. 국내외 사례 검토 65 4. 선행연구 및 국내외 사례를 통한 대안의..
-
근현대 건축문화유산의 가치 보존을 위한 수리체계 개선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3. 선행연구의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0 1) 선행연구 현황 10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1 4. 연구흐름도 12 제2장 근현대 건축문화유산 수리체계의 현황과 특성 1. 지정문화재의 수리체계 13 1) 지정문화재 수리체계의 개요 13 2) 단계별 지정문화재 수리체계 17 2. 근현대 건축문화유산..
정기간행물 3건
-
건축자산 진흥 제도의 현재와 미래
2014년 「한옥등건축자산법」이 제정되고 8년이 흘렀다. 그동안 제도 운영에서 겪은 시행착오를 반영해 법령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여러 지자체에서는 선도 사례를 구축하고 이를 확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런 시점에 건축자산 진흥 제도의 현황을 확인하고 앞으로의 발전, 개선 방향을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한다. 정책이슈 : 건축자산 진흥 제도의 현재와 미래 건축자산 진흥 제도의 추진 현황과 과제_이규철 서울..
-
건축자산 진흥 제도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향
* 이 글은 이규철 외. (2021). 건축자산 진흥 제도 개선방안 연구.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건축자산 진흥 제도는 국가 기본계획으로서 ‘건축자산 진흥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광역지자체에서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제도를 운영해 오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으로 건축자산 진흥 제도의 기반은 마련되었지만, 보다 효과적인 건축자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해..
-
국가등록문화재의 보존관리 현황과 제도 개선 방안
* 이 글은 이규철 외. (2022). 현대 건축문화유산 등록기준 및 보존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문화재청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50년 이상’의 국가등록문화재 등록기준에 따라, 최근 1960년대 이후의 건축물이 등록 대상에 포함되었다. 1960년대 이후의 건축물은 이전 시기와 비교하여 규모재료공법 등이 훨씬 다양하고 대량으로 생산되었기 때문에, 등록대상의 특성 변화를 고려하여 국가등록문화..
단행본 1건
세미나·포럼 2건
-
2023 대한건축학회-건축공간연구원 건축자산 정책세미나
- 행사명 : 2023 대한건축학회-건축공간연구원 건축자산 정책세미나
- 주제 : 근현대 건축유산의 면단위 보전 관리 현황과 과제
- 기간 : 2023-04-27 ~ 2023-04-27
- 장소 : 부산 벡스코 제2전시장 125호
- □ 프로그램 프로그램 시간 내용 개회 16:00~16:05 사회 신웅주 교수(조선대학교) 인사말 16:00~16:15 환영사 최창식 학회장(대한건축학회) 축사 이영범 원장(건축공간연구원) 제1부 주제발표 16:15~16:35 건축자산 진흥구역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박일향 부연구위원(건축공간연구원) 16:35~16:55 소제동 건축유산과 도시재생에 관한 이상과 현실의 괴리..
-
2022 제2차 AURI-광역지자체 건축자산 진흥 정책 심포지엄
- 행사명 : 2022 제2차 AURI-광역지자체 건축자산 진흥 정책 심포지엄
- 주제 : 인천광역시 건축자산 정책 방향과 활성화 방안
- 기간 : 2022-11-09 ~ 2022-11-09
- 장소 : 베스트웨스턴 하버파크 호텔 3층 파크볼룸 및 온라인 생중계(auriTV)
- □ 프로그램 개 회 15:00 ~15:05 개 회 사회 박일향 건축공간연구원 부연구위원 인사말 15:05 ~ 15:25 환영사 유정복 인천광역시 시장 축사 이영범 건축공간연구원 원장 제1부 : 주제발표 제1부 주제발표 15:25 ~ 15:50 건축자산 제도의 운영 현황과 건축자산 활용 사례 이규철 건축공간연구원 건축문화자산센터 센터장 15:50 ~ 16..
auri 소식 1건
직원 1건
| 부서 | 직급 | 성명 | 업무 | 전화번호 |
|---|---|---|---|---|
| 지역재생본부 | 부연구위원 | 박일향 | 건축역사이론, 건축자산, 한옥정책 | 044-417-9887 |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