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수요맞춤형 창업지원시설 조성방안 연구
김해리 부연구위원 김민지 연구원
  • 정책자료 2020-3
  • 2020.08.28
  • 94페이지
  • 조회수 3005
요약

□ 정부의 일자리창출 지원 정책에 따라 창업지원시설의 급격한 양적 증가, 수요 기반의 창업지원시설 조성을 위한 현황 진단이 필요한 시점

  - 2020년 추진 중 또는 예정인 중앙정부의 창업지원사업 예산은 총 1조 4,517억 원으로 2019년 대비 3,336억 원(29.8%)가 증가

  - 창업지원시설 조성에 막대한 예산이 소요됨에도 시설 조성 및 이용, 수요 등에 대한 종합적인 실태 파악은 미흡한 실정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업지원시설의 양적 확충이 가속화되는 현 시점에서 수요 기반 창업지원시설 조성을 위한 현황을 진단하고자 실태조사를 추진


 관련 정책 사업을 통한 창업지원시설 지원은 입주공간 및 공용공간 제공이 주를 이루며, 각 공간에 대한 입주자 이용 및 수요 특성은 다음과 같음

  - 창업지원시설 주자는 주로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입주 시설을 선택하며, 건축 디자인 보다는 입주비용, 입주공간 및 공용공간의 규모를 중시

  - 입주공간에 대한 만족도는 폐쇄형 보육실 이용자가 개방형 보육실 이용자보다 높고 휴게공간, 회의공간 등 공용공간에 대해서는 입주공간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수준

  - 업무능률 제고를 위한 계획요소로는 온습도, 소음, 공기질 등 이용자가 느끼는 기본적인 쾌적함과 관련된 요소가 건축 디자인 요소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수요맞춤형 창업지원시설 조성방향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입주공간은 기업 성장주기에 따라 개방형 보육실과 폐쇄형 보육실이 적절히 혼재된 공간 계획이 필요하며, 기업 성장주기에 관계없이 나타난 폐쇄형 입주공간과 개방형 입주공간에 대한 양면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코워킹스페이스의 추가적 계획 가능

  - 공용공간은 개별 기업이 입주공간과 같이 전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공용공간에의 접근 및 이용에 대한 입주기업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선 계획 필요

  - 그밖에, 보다 나은 시설 조성을 위해 담당 공무원의 이해 제고를 위한 교육, 설계자와 창업생태계 관계자(시설 운영자, 이용자)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한 계획 및 설계가 중요

목차

1.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9

  2) 연구 범위 및 방법 12

  3) 선행연구 검토 13


2. 수요맞춤형 창업지원시설의 개념 정의 및 관련 정책 사업 실태

  1) 수요맞춤형 창업지원시설의 개념 15

  2) 중앙정부의 창업지원시설 관련 정책 사업 추진 실태 17

  3) 지자체의 창업지원시설 관련 정책 사업 추진 실태 26


3. 창업지원시설 조성 및 운영 실태

  1) 조사 개요 39

  2) 창업지원시설 조성 및 운영 실태 40


4. 창업지원시설 이용 만족도 및 수요 실태

  1) 조사 개요 65

  2) 창업지원시설 입주자의 이용 만족도 및 수요 실태 68


5. 결론

  1) 연구의 주요 결과 89

  2) 수요맞춤형 창업지원시설 조성방향 및 후속과제 제언 92


참고문헌 95

김해리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포스트 건축공간연구원 네이버 TV 건축공간연구원 유튜브 건축공간연구원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