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 기본연구보고서 2020-5
- 2020.10.31
- 267페이지
- 조회수 109
건축·도시 분야 민간전문가 제도가 본래 취지에 맞게 운영·정착되기 위해서는 국내 운영현황과 실태를 토대로 많은 지자체들이 참고할 수 있는 운영체계를 마련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현재 매우 단순화되어 있는 법 규정과 관련하여 혼동을 줄이고 갈등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하에 ‘지자체 단위 건축·도시 분야 민간전문가 제도’를 중심으로 관련 이슈와 운영 실태를 토대로, ① 대두되고 있는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② 많은 지자체가 참고할 수 있는 운영체계를 정립·제시하며 ③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건축·도시 분야 민간전문가 개념 및 용어를 검토하고 관련된 이슈를 도출하여 연구 분석의 주요 틀로 활용하였다(2장).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국내 건축·도시 분야 민간전문가 제도의 운영현황을 파악하여 세 가지 유형으로 정리, 분석하였다(3장). 이 중 ‘지자체 단위 건축·도시 분야 민간전문가 제도’를 중심으로 전문가 간담회를 통해 이슈별 의견을 수렴하고, 자문회의 및 면담조사를 통해 국내 지자체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4장). 이와 함께 해외(네덜란드, 벨기에, 덴마크)의 총괄건축가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국가별 특성 및 국내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5장). 국내외 현황 및 분석을 종합하여 민간전문가 제도 운영모델을 제시하고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6장).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8
제2장 민간전문가 제도 및 주요 이슈사항 검토 11
1. 국내 건축·도시 분야 민간전문가 제도 개요 11
1) 국내 민간전문가 제도의 이해 및 도입배경 11
2) 민간전문가 제도 도입 추진과정 13
2. 건축·도시 분야 민간전문가 개념 및 용어 검토 15
1) 법률에서의 관련 용어 및 정의 15
2) 선행연구와 해외에서의 관련 용어 및 정의 18
3) 본 연구에서의 용어 정의 20
3. 민간전문가 정책 변화 및 주요 이슈 23
1) 최근 정책 변화 23
2) 민간전문가 제도 관련 주요 이슈 25
3) 민간전문가 제도 관련 주요 이슈 종합 29
제3장 국내 건축·도시 분야 민간전문가 운영현황 31
1. 지자체 민간전문가 운영현황 32
1) 지자체 민간전문가 위촉 현황 : 위촉 지자체 수, 규모 및 명칭, 기간 33
2) 조례제정 및 담당부서 현황 38
3) 민간전문가 위촉절차 및 근무체계(위상, 임기, 근무형태, 보수체계) 41
2. 공공기관 민간전문가 운영현황 45
1)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46
2) 서울특별시 교육청 51
3) 한국철도공사 54
3. 부처별 프로젝트 단위 민간전문가 운영현황 56
1) 운영현황 및 개요 57
2) 역할 및 관계 60
3) 운영 및 지원체계 62
4. 소결 66
1) 지자체 민간전문가 66
2) 공공기관 민간전문가 69
3) 부처별 프로젝트 단위 민간전문가 70
제4장 지자체 민간전문가 제도 운영실태 분석 73
1. 분석개요 74
1) 조사목적 및 방향 74
2) 조사내용 및 조사방법 75
3) 조사대상 및 조사 실시 77
2. 민간전문가 간담회 주요 내용 79
1) 도 총괄건축가/총괄계획가 간담회 79
2) 특광역시 총괄건축가/총괄계획가 간담회 83
3) 시군구 총괄건축가/총괄계획가 간담회 87
4) 공공건축가 간담회 92
5) 소결 95
3. 지자체 민간전문가 제도 운영실태 사례분석 102
1) 민간전문가 선정 및 위상 102
2) 전담부서 신설·운영 및 전문직 공무원(임기제) 운영 104
3) 업무수행체계 108
4) 총괄건축가/총괄계획가 역할 및 업무 111
5) 공공건축가 운영체계 117
6) 유관조직 운영 현황 119
7) 기타 121
8) 소결 123
제5장 해외 민간전문가 제도 사례분석 127
1. 네덜란드 도시총괄건축가 128
1) 도입배경 및 운영현황 128
2) 행정적 지위 130
3) 역할 130
4) 운영 특성 131
2. 벨기에 총괄건축가 133
1) 도입배경 및 운영현황 133
2) 행정적 지위 134
3) 역할 136
4) 운영 특성 137
3. 덴마크 도시건축가 139
1) 도입배경 및 운영현황 139
2) 행정적 지위 140
3) 역할 141
4) 운영 특성 144
4. 국내에의 시사점 146
제6장 민간전문가 제도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 151
1. 기본방향 151
2. 운영실태 분석 종합 및 개선방향 153
1) 위촉 및 근무 관련 153
2) 민간전문가 역할 및 업무수행 관련 157
3) 운영체계 및 조직 관련 등 162
3. 지자체 민간전문가 운영모델 제시 165
1) 총괄건축가/총괄계획가 업무 및 운영 개정(안) 165
2) 공공건축가 업무 및 운영 개정(안) 168
3) 민간전문가 운영체계 개정(안) 170
4. 제도 개선방안 173
1) 건축기본법 개정(안) 173
2) 민간전문가 제도 운영 가이드라인 개정(안) 176
제7장 결론 181
1. 연구의 요약 및 의의 181
2. 정책제안 및 향후 연구과제 제안 183
참고문헌 187
SUMMARY 195
부록 207
1. 지자체 민간전문가 운영현황(20.9월말 기준) 208
2. 부처별 프로젝트 단위 민간전문가 운영현황 213
심경미 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 한옥주택 점검제도 도입을 위한 시범점검 결과분석 한옥정책브리프 2015.09.18 조회수 150
- 한옥주택 수선 지원사례 분석을 통한 기존 한옥의 관리· 지원 정책제안 한옥정책브리프 2014.12.31 조회수 230
- 한옥인증을 위한 평가항목 도출 및 등급제 시행방안 한옥정책브리프 2014.08.28 조회수 298
- 한옥활성화를 위한 사업지원 현황과 과제 한옥정책브리프 2012.08.01 조회수 186
- 한옥지원조례 제정현황 및 운영 특성 한옥정책브리프 2012.04.02 조회수 131
- 건축·도시 분야 민간전문가 제도 운영 현황 분석 및 시사점 auri brief 2020.07.30 조회수 235
- 제2차 경관정책기본계획의 주요 내용과 추진 방안 auri brief 2020.01.31 조회수 274
-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 진단을 위한 지표 개발과 정책제안 auri brief 2019.09.30 조회수 232
- 주민주도형 소규모 정비 활성화를 위한 건축협정제도 개선 방안 auri brief 2017.08.30 조회수 119
- 농촌경관 관리정책의 현안과 개선 방향 auri brief 2017.06.15 조회수 103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